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

교통사고 합의 시 반드시 체크해야 할 7가지 포인트

by 폭스퀸 2025. 3. 15.

상대방 보험사에서 합의 요청이 왔다면, 서류에 서명하기 전 이 가이드를 꼭 확인하세요. 단순해 보이는 합의 과정 속에 숨겨진 함정을 피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합의서 문구의 숨은 의미 해석

"완전 최종 합의"라는 표현은 향후 모든 권리를 포기한다는 뜻입니다. 반드시 "현재까지 확인된 손해에 한함"이라는 단서 조항을 추가해야 합니다. 2023년 서울중앙지법 판례에서 이 조항이 없는 합의서는 무효라는 판결이 나온 바 있습니다.


2. 치료 종료 시점 명시 기술

현재 진행 중인 치료가 있다면 합의서에 명시된 날짜 이후 발생한 증상은 별도 청구 가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본 합의는 2024년 8월 1일까지의 치료를 기준으로 함"이라고 기재하면, 이후 발견된 추간판 탈출증은 새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세금 폭탄 피하는 금액 산정

현금 합의 시 500만 원 이상은 기타소득으로 과세됩니다(6.6~44% 세율). 보험사로부터 직접 입금받으면 비과세 처리되므로, "보험금 명목으로 입금 요청"을 반드시 문서화해야 합니다.


4. 전문가 활용 시기 판단 기준

  • 50만 원 미만 : 개인적 협상 가능
  • 50~500만 원 : 온라인 법률상담(30분 약정)
  • 500만 원 이상 : 손해사정사 동반 필수

5. 후유장해 대비 3단계 전략

  1. 의사 확인서 : "추가 치료 가능성 있음" 진술 요청
  2. 추가 검사 예약 : 합의 후 3개월차 MRI 촬영 예약
  3. 법적 유보 조항 : "본 합의 후 1년 이내 발견된 손상은 별도 협의"

6. 녹음·촬영의 적법성

대한민국 법상 상대방 동의 없이 통화 녹음 가능(민법 제195조). 하지만 영상 촬영 시에는 "녹화 중입니다"라고 공지해야 합니다. 스마트폰으로 협상 과정 전체를 기록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7. 보험사 속임수 대응 매뉴얼

  • "이게 표준 약관입니다" → 금융감독원 표준약관과 비교
  • "빨리 서명하세요" → 3일 유예권 요구
  • "추가 치료 불가능" → 의사 소견서 반박

최종 체크리스트

  • 합의서에 '현재까지 확인된 손해' 조항 포함
  • 치료 종료일 명시
  • 후유장해 관련 유보 조항 삽입
  • 현금 대신 보험금 입금 요청
  • 전문가 검토 완료

이 체크리스트를 모두 완료하면 안전하게 합의를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작은 실수도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니 꼼꼼함이 최선의 방패입니다!

댓글